| 작물명 | 적용병해충 | 사용적기 및 방법 | 희석배수 or 사용량 | 안전사용시기 | 안전사용횟수 |
|---|---|---|---|---|---|
| 기계이앙벼(어린모) | 일년생잡초(피,물달개비,가막사리,여뀌바늘,밭뚝외풀) | 써레질 직후-이앙 2일전 수면처리 | 400㎖/10a | 이앙기 | 1회 |
| 기계이앙벼(어린모) | 논조류(이끼) | 써레질직후 이앙2일전 수면처리 | 400㎖/10a | 이앙기 | 1회 |
특징
- 일년생잡초 방제의 테트라졸리논계의 펜트라자마이드와 논조류(이끼)를 방제하는 트리아진계인 시메트린의 혼합제로 잡초의 발생전에 처리하는 수면처리용 제초제입니다.
- 물에 희석하지 않고 원액 그대로 살포하므로 써레질 동시처리(트랙터 부착)가 가능하여 노동력이 절감됩니다.
사용방법
- 물에 희석하지 마시고 원액 그대로 수면에 점적처리하십시오.
- 논 지면을 잘 고른 직후 흙탕물 상태에서 살포하여 주십시오. 약제살포 후 정지판 작업을 하여 주십시오
- 약제 살포는 병밑 오목한 부분을 손으로 잡고 살포 폭을 10m정도로 하여 걸어가면서 5~6보마다 좌우로 휘둘러 뿌리십시오.
- 약을 뿌린후 이앙전까지는 논물을 대거나 빼지 마시고 그대로 유지하십시오.
- 정지작업을 균일하게 하고 약제살포후 최소한 2일 이후에 이앙하고 이앙후에는 벼 엽신이 물에 잠기면 약해우려가 있으므로 꼭 얕은 물관리(벼 엽신이 물에 잠기지 않는 3㎝정도)를 하여 약해를 입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.
주의사항
- 바람이 심하게 불때 처리하면 약액이 바람에 날리거나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되어 한곳에 몰려 약해가 발생하거나 약효가 떨어질 수 있으니 바람이 심하게 불때는 약제를 처리하지 마십시오.
- 논바닥이 고르지 못하여 일부는 논바닥이 보이고 일부는 모가 물속에 잠기는 등 물관리가 어려운 논에는 사용하지 마십시오.
- 약제 살포후 3~4일간은 물을 대거나 빼지 마십시오.
- 사질토양의 논, 물빠짐이 심한 논(물빠짐 : 2㎝/일 이상), 유기물 함량이 낮은 척박한 논(새로 개간한 논이나 경지정리한 논), 야산개답지, 찬물이 나는 논, 물빠짐이 좋지 않은 침수 또는 산간 계단식 논에는 사용하지 마십시오.
- 생볏짚 등 미숙퇴비를 사용하여 가스가 발생하는 논에서는 약해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하지 마십시오.
- 이상저온으로 인하여 모의 활착이 지연될 우려가 있을 때와 지속적인 이상고온이 예상되는 조건에서는 사용을 피하십시오.
- 이앙후 불량환경조건에서는 뿌리 활착이 늦어질 수 있으나 곧 회복되어 후기생육에는 영향이 없습니다.
- 청보리를 재배한 논에서는 가스에 의해 약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충분히 가스를 빼지 않은 논에서는 사용하지 마십시오.
